작가

조양희

조양희

따뜻한 가족애를 주제로 한 감성 어린 글들을 발표하며, 우리의 일상에 작은 쉼표를 던져왔던 작가 조양희. 서울에서 태어나 공군 통신장교였던 아버지와 간호사였던 어머니의 돈독한 부부애로 꾸려진 가정에서 조양희는 세상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배울 수 있었으며, 단란한 가정에서 흡수한 사랑의 자양분은 고스란히 그녀의 삶과 글에 녹아들었다.

성심여대 국문학과를 졸업한 뒤 1969~1979년까지는 대한항공 스튜어디스로, 그후에는 조선호텔 매니저로 일하며 커리어우먼으로 한창 경력을 쌓아가던 중 조양희는 운명의 상대를 만나게 되었다. 서른세 살의 나이로 주위의 걱정을 한몸에 받던 시절, 후배의 간곡한 부탁으로 나간 맞선 자리에서 상대편 물주로 따라나온 세 살 연하의 남자를 만나게 된 것. 정작 맞선 상대는 연락이 없는데 그 청년은 한 번 더 만나보라는 구실로 계속 연락을 해왔단다. 설마 했던 그 청년이 황혼녘 노을 아래 언덕길을 걸어오는 모습을 보고 운명을 느꼈다는데, 그렇게 맞선 자리에 덩달아 따라나온 남자가 지금의 남편 박문규 씨다.

아이 셋을 낳고 기르던 그 정신없던 와중에도 문학에의 꿈을 접지 않았던 조양희는 마흔한 살의 나이로 《여성동아》 장편소설 공모에 『겨울외출』이 당선되어 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그렇게 해서 지금껏 우리에게 알려진 작품들이 『겨울 외출』 『하늘빛 유혹』 『이브의 섬』 등의 장편소설과 『도시락 편지』 『행복 쪽지』 『부엌데기 사랑』 『희망으로 짠 조각보』 『게으를 수 있는 용기』 등의 에세이들이다.

이 책에서는 여느 가정처럼 수많은 갈등의 씨앗을 품고 살며, 20년 동안 단 하루도 싸우지 않은 날이 없었던 이들 부부가 매일 아침 5분 칭찬의 시간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인정하게 되는 과정이 진솔하게 그려진다. 모난 돌이 둘글어지기까지, 결혼 20년 만에 깨달은 조양희 부부의 삶의 지혜에 행복한 결혼 생활의 답이 들어 있다.

조영

조영

2011년 디지털작가상 수상작인 『홈즈가 보낸 편지』로 데뷔한 후 김승옥문학상, 세계문학상(『붉은 소파』) 등 각종 공모전을 섭렵했다. 추리소설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소설을 비롯하여 동화, 에세이 등의 분야도 왕성하게 집필하고 있다. 국내외를 넘나드는 앤솔러지 소설을 기획・출간하는 등 크리에이터로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조영주

조영주

1979년 서울에서 태어나 숭실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필명 윤해환으로 집필한 장편소설 『홈즈가 보낸 편지』로 제6회 대한민국디지털작가상 우수상을 수상했고(2011년), 이후 『흰 바람벽이 있어』로 한국콘텐츠진흥원 원작소설 창작과정 및 스토리마켓에 선정되었다. 단편 「귀가」로 제2회 KBS 김승옥 문학상 신인상 추천우수상을(2014년), 이듬해 『타락할래! 천사와 악마의 따분한 나날들』로 제1회 예스24 e-연재 공모전 우수상을 수상했다. 단기간에 다수의 공모전에 입상되며 커피 향처럼 은은하게 독자들 사이로 조금씩 스며들고 있는 작가는 집필 시간 외에는 틈틈이 바리스타로 일하면서 우리 사회 곳곳을 주시하며 다음 소설을 구상한다.
그 외에도 장편소설 『트위터 탐정 설록수』『몽유도원기』를 발표했고, 『셜록 홈즈의 증명』『한국 추리 스릴러 단편선』에 단편소설을 수록, 출간했다.

조용진

조용진

홍익대학교 및 동 대학원에서 동양화를 전공하였고, 카톨릭의과대학에서 7년 동안 인체해부학을 연구하였으며, 일본 동경예술대학에서 미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국립군산대학교와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서대학교 교수와 동 대학 부설 얼굴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동양화 읽는 법>, <서양화 읽는 법>, <채색화 기법>, <얼굴, 한국인의 낯> <우리 몸과 미술> 등 여러 책이 있다.

조정래

조정래

‘작가정신의 승리’라 불릴 만큼 온 생애를 문학에 바쳐온 조정래 작가는 한국문학뿐 아니라 세계문학에서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뛰어난 작품 활동을 펼쳐왔다. 작가정신의 결집체라 할 수 있는 대하소설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은 ‘20세기 한국 현대사 3부작’으로, 1천 5백만 부 돌파라는 한국 출판사상 초유의 기록을 수립했다.
1943년 전라남도 승주군 선암사에서 태어나 광주 서중학교, 서울 보성고등학교를 거쳐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70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한 후, 왜곡된 민족사에서 개인이 처한 한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며 소설을 집필했다.
대하소설 3부작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을 비롯해, 장편소설 『천년의 질문』 『풀꽃도 꽃이다』 『정글만리』 『허수아비춤』 『사람의 탈』 『인간연습』 『비탈진 음지』 『황토』 『불놀이』 『대장경』, 중단편소설집 『그림자 접목』 『외면하는 벽』 『유형의 땅』 『상실의 풍경』 『어떤 솔거의 죽음』 등을 발표했다.
산문집으로 『누구나 홀로 선 나무』 『황홀한 글감옥』 『조정래의 시선』『조정래 사진 여행: 길』과 함께, 문학인생 50년을 담은 『홀로 쓰고, 함께 살다』를  출간했다. 또한 고등학생 손자와 함께 집필한 『할아버지와 손자의 대화』와 청소년을 위한 위인전인 『신채호』 『안중근』 『한용운』 『김구』 『박태준』 『세종대왕』 『이순신』을 발표했다.
현대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단재문학상, 노신문학상, 광주문화예술상, 만해대상, 현대불교문학상, 심훈문학대상 등을 수상했고,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조정래 작가의 작품은 영어 · 프랑스어 · 독일어 · 일본어 등으로 세계 곳곳에서 번역 출간되었고, 영화 · 오페라 · 뮤지컬 · 만화로 만들어졌으며, TV 드라마 등으로도 제작되고 있다.

조정용

조정용

국내 최초의 와인 경매사로 첫 책 '올 댓 와인'을 통해 와인을 둘러싼 문화와 역사부터 와인을 제대로 고르는 법,
세계를 주름잡는 와인들에 얽힌 이야기, 와인 경매와 와인 투자까지를 속속들이 알려줌으로써
와인을 두려워하는 독자들에게는 용기를, 와인 애호가들에게는 공감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1년의 3할 이상을 세계 와인 명가 탐방에 투자하며 매년 업데이트되는 와인 자료를 모으고
직접 맛을 본 느낌을 담백하게 풀어놓은 올 댓 와인은 명작의 반열에 오른 명품 와인들에 얽힌 흥미진진한 이야기와
그 속에 담긴 비밀을 탐색해 가는 과정을 현장감 있게 들려주어 진정한 와인 맛의 세계를 경험하게 해주는 책이다.
와인 저널리스트로 여러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면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고려대학교에서 '포도주개론'을 강의하고 있다.
그 외에도 '와인이 요리를 만났을 때'(공저)를 출간했다.

존 가트맨

존 가트맨

부부 및 관계 치료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 존 가트맨 박사는 MIT에서 수학 및 물리학 석사학위를, 위스콘신대학에서 임상심리학 석 ․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워싱턴대학 심리학과 명예교수이다. 부인 줄리 슈워츠 가트맨 박사와 함께 ‘가트맨 연구소(Gottman Institute)’를 창립했으며, 워싱턴대학의 ‘러브랩’을 창설했다. 미국국립정신건강연구소 과학자상을 네 차례 수상하고, 미국심리학협회 평생공로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지금까지 2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저서로는『부부를 위한 사랑의 기술』『우리 아이를 위한 부부 사랑의 기술』『내 아이를 위한 감정코칭』『그녀를 모르는 그에게』등이 있다.

주원규

주원규

2009년 제14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인 『열외인종 잔혹사』를 비롯해 장편소설 『서초동 리그』 『나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특별관리대상자』 『메이드 인 강남』 등을 썼다. 그 외에도 에세이 『아이 괴물 희생자』 『황홀하거나 불량하거나』 등이 있다. 2017년 tvN 드라마 <아르곤>을 집필했고, 2019년 OCN 오리지널 드라마 <모두의 거짓말>의 기획 집필에 참여했다.

주제 사라마구

주제 사라마구

1922년 포르투갈에서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용접공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한 사라마구는 1947년 『죄악의 땅』을 발표하면서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그 후 19년간 단 한 편의 소설도 쓰지 않고 공산당 활동에만 전념하다가, 1968년 시집 『가능한 시』를 펴낸 후에야 문단의 주목을 받는다. 사라마구 문학의 전성기를 연 작품은 1982년작 『수도원의 비망록』으로, 그는 이 작품으로 유럽 최고의 작가로 떠올랐으며 1998년에는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20세기 세계문학의 거장으로 꼽히는 사라마구는 환상적 리얼리즘 안에서도 개인과 역사, 현실과 허구를 가로지르며 우화적 비유와 신랄한 풍자, 경계 없는 상상력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문학세계를 구축해왔다. 왕성한 창작 활동으로 세계의 수많은 작가를 고무하고 독자를 매료시키며 작가 정신의 살아 있는 표본으로 불리던 그는 2010년 여든일곱의 나이로 타계했다.

줄리 슈워츠 가트맨

줄리 슈워츠 가트맨

미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심리치료사 중 한 명인 줄리 슈워츠 가트맨 박사는 가트맨 연구소의 공동 설립자이자 소장이다. 커플을 위한 워크숍 ‘사랑의 예술과 과학’의 공동 창설자이자 임상훈련 프로그램 ‘가트맨식 부부 심리치료’의 공동 설계자이다. 2002년에는 워싱턴 주 선정 ‘올해의 심리학자’로 뽑히기도 했다. 저서로는 존 가트맨 박사와 함께 쓴『부부를 위한 사랑의 기술』『우리 아이를 위한 부부 사랑의 기술』등이 있다.

줄리엣 B. 쇼어

줄리엣 B. 쇼어

일, 여가, 소비의 상관관계, 환경과 지속가능성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저서인 『쇼핑하기 위해 태어났다Born to Buy』, 『과로하는 미국인들The Overworked American』, 『과소비하는 미국인들The Overspent American』을 통해 미국의 소비문화와 그 폐해를 예리하게 비판하여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하버드 대학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나 주류 경제학의 무한 성장 패러다임에 반대하여 사임, 현재는 보스턴 대학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구겐하임 펠로십Guggenheim Fellowship을 수상했다. 쇼어는 또한 경제적?사회적으로뿐만 아니라 생태적으로도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뉴아메리칸드림센터New American Dream Center의 공동 창립자이기도 하다.

진덕수

진덕수

진덕수眞德秀(1178~1235년)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이자 정치가로 지금의 푸젠성[福建省]인 건녕부(建寧府) 포성(浦城) 출신이다. 영종(寧宗) 때인 1199년에 진사(進士)가 됐고, 1205년에 현직 관료들을 대상으로 시행하던 시험인 박학굉사과(博學宏詞科)에 합격했다. 1225년 이후 이종(理宗)의 총애를 받아 중서사인(中書舍人), 예부시랑(禮部侍郞) 등에 임명됐지만, 재상 사미원(史彌遠)의 탄핵으로 파직됐다. 벼슬자리를 떠나 있으면서 ‘황제의 다움을 닦고 다스림을 보필하기 위해’ 『대학연의』를 집필했다. 사미원 사망 후 1234년에 다시 정계에 복귀하여 황제에게 『대학연의』를 바쳤고, 호부상서(戶部尙書)를 거쳐 한림학사지제고(翰林學士知制誥)가 됐으나, 다음 해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오르고 1년이 채 되지 않은 58세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조선 전기에는 『대학연의』가 널리 읽혔고 조선 후기에는 그의 다른 저작인 『심경』이 선비들의 필독서로 각광받았다. 그 밖의 저서로는 『당서고의(唐書考疑)』 『독서기(讀書記)』 『문장정종(文章正宗)』 『서산갑을고(西山甲乙稿)』 『서산문집(西山文集)』 등이 있다.



정민정程敏政(1445~1499년)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로 지금의 안후이성[安徽省]인 휘주부(徽州府) 휴녕(休寧) 출신이다. 자는 극근(克勤)이고, 중년 이후 황돈(篁墩)을 호로 삼았다. 효종(憲宗) 때인 성화(成化) 2년(1466) 진사(進士)에 급제하여 편수(編修)에 임명되었다. 한림(翰林) 중 학문이 해박하다 하여 황태자를 가르치기도 했다. 태상사경(太常寺卿) 겸 시강학사(侍講學士)를 거쳐 예부우시랑(禮部右侍郞)까지 올랐으나 홍치(弘治) 12년(1499년) 탄핵을 받아 물러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세상을 떠났다. 문집으로 『황돈집(篁墩集)』 과 『송유민록(宋遺民錄)』 『영시집(?詩集)』이 있고, 그 밖에 『명문형(明文衡)』과 『신안문헌지(新安文獻志)』 등을 편찬했다.

진혜원

진혜원

현직 검사(현 서울동부지방검찰청 부부장 검사).
서울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연세대학교 법학과와 버지니아대 로스쿨을 졸업하고 한국 사법시험과 미국 변호사시험에 합격하여 현재 서울에서 국내외 법률을 해석·연구하고 적용하는 일을 하고 있다.
음악·예술·문학·인문·사회 전반에 걸친 깊이 있는 탐구를 바탕으로 한 융합적 사고가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기를 꿈꾸며, 공부·성적·시험 만능주의 대신 각자의 개성과 본성이 존중받는 사회로 변화해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예술가들을 후원하고 있다.
페이스북에서 ‘Humble Squid(겸허한 오징어)’라는 필명으로도 활동 중이다.

차인표

차인표

1967년 서울에서 출생하여 미국 뉴저지주립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1993년 데뷔 이래 20여 년간 드라마와 영화를 활발히 오가며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배우로 자리매김했다.
사회를 향한 따뜻한 시선과 나눔의 실천으로 많은 이들에게 훈훈한 감동을 전해온 그는 1997년부터 우리가 발 딛고 사는 현실의 문제와 이야기들을 보다 깊이 공유하고자 글쓰기를 시작하여 차근차근 작가로서 자신만의 길을 다져가고 있다. 특히 우리 사회에서 가려진 곳, 아픈 이들의 속살을 세밀하게 그려내며 세상을 보듬는 이야기꾼으로서 작가적 지향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누군가의 아픔에 진심으로 공감하는 것만으로도 큰 힘이 된다는 것을 오랜 경험으로 알기에 그에게 글쓰기는 속깊은 공감과 나눔의 연장선이다.
2009년 첫 장편소설 『잘가요언덕』에서 위안부 이야기라는 역사성 짙은 소재를 투명하고 따뜻한 문체로 그려내 독자들의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다양한 기부활동을 비롯 세계의 어려운 아이들을 돕는 NGO단체 ‘컴패션’의 자원봉사자로 사회구호에도 열정적으로 임하며, 나눔문화의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

찰스 C. 맨즈

찰스 C. 맨즈

강연가이자 컨설턴트. 현재 니렌버그 비즈니스 리더십센터 학장, 매사추세츠 대학 아이젠버그 경영대학원 석좌교수로 있다. 여러 기업과 조직에서 셀프리더십과 동기부여 등의 주제를 가르쳐왔으며, 스티벨 피바디 북어워드에서 '올해의 책' 상을, 하버드 대학 마빈 바우어 '비즈니스 연구가상' 등을 받은 바 있다. 지은 책으로 <예수의 리더십>, <보스가 없는 비즈니스>, <바보들은 항상 최선을 다했다고 말한다>, <영웅들의 회사> 등이 있다.

최돈선

최돈선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에서 났다. 춘천교육대학을 중퇴했다. 재학 중 《강원일보》 《월간문학》 신인상, 《동아일보》에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중등교원자격시험에 합격, 전라남도 완도와 강원도 춘천에서 교편생활을 했다. 시집으로 『칠년의 기다림과 일곱 날의 생』 『물의 도시』 『허수아비 사랑』이 있고, 산문집으로 『외톨박이』가 있다.

최민석

최민석

소설가.
때로는 에세이스트, 방송인, 뮤지션, 그리고 여행자.
장편소설『능력자』『풍의 역사』『쿨한 여자』, 소설집『시티투어버스를 탈취하라』『미시시피 모기떼의 역습』, 에세이『베를린 일기』『꽈배기의 맛』『꽈배기의 멋』『피츠제럴드』 등을 썼다. 이 중 『베를린 일기』는 90일간의 베를린 체류기이며,『피츠제럴드』는 소설가 피츠제럴드의 생을 쫓아간 문학기행서다. 아울러 여행지 《론리플래닛》에 3년간 여행칼럼을 연재했다. 여행하며 쓰는 것을 삶의 일부분으로 여기고 있다.
글쓰기 강의를 10년째 해왔으며, EBS 라디오 <오디오 천국>에서 ‘양심의 가책’이라는 책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6·70년대 지방캠퍼스 록밴드 ‘시와 바람’에서 보컬로도 활동했다.

최선호

최선호

단순하고 절제된 한국의 색과 면의 조화를 모던하게 그려내는 화가 최선호는, 1957년 청주에서 출생하였고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한 후 뉴욕대학교(NYU)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80년부터 8년간 간송미술관 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전통문화의 가치와 의미를 되새겼고, 미국 유학 중에는 현대 미술과 미술사를 공부함으로써 한국 미술과 문화의 아름다움을 재인식했다. 귀국 후 전국의 궁궐·사찰·서원 등을 다년간 답사하며 지적 사유와 화가의 감성을 바탕으로 한 답사기를 언론에 기고함으로써 잊혀져가는 한국의 미를 새롭게 알릴 뿐 아니라 작품세계에도 접목시켜 한국적 미감을 예술로 승화시키고 있다.
표 갤러리 베이징, 갤러리 현대, CJ 갤러리 등에서 열린 개인전(16회) 및 퀄른 아트페어, 갤러리 클라우디아 델랑크(Claudia Delank)에서의 전시 등 국내외에서 활발히 작품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현재 국립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성애

최성애

현재 HD행복연구소 및 HD가족클리닉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컬럼비아대학에서 심리학 석사학위를 받고, 시카고대학에서 인간발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후 독일 프랑크푸르트 국제심리및가족치료사 자격증과 미국 가트맨 인스티튜트에서 가트맨공인부부치료사 자격증을 취득했다. 미시간공과대학 심리학과 교수와 핀란디아대학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사)감정코칭협회 창립 후 초대회장을 역임했으며 회복탄력성 연구로 세계적 명성을 얻고 있는 미국 하트매스 연구소의 마스터 트레이너이다.
저서로『최성애 박사의 행복 수업』을 비롯해 조벽 교수와 함께『정서적 흙수저와 정서적 금수저』『최성애 ․ 조벽 교수의 청소년 감정코칭』등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집필했다.

최영미

최영미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 서양사학과를 졸업했고, 홍익대 대 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92년《창작과비평》겨울호에 시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서른, 잔치는 끝났다』『꿈의 페달을 밟고』『돼지들에게』『도착하지 않은 삶』『이미 뜨거운 것들』『다시 오지 않는 것들』, 장편소설『흉터와 무늬』『청동정원』, 산문집『시대의 우울: 최영미의 유럽 일기』『우연히 내 일기를 엿보게 될 사람에게』『화가의 우연한 시선』『길을 잃어야 진짜 여행이다』『내가 사랑하는 시』『시를 읽는 오후』가 있다.『돼지들에게』로 이수문학상을 수상했다.
시「괴물」등 창작 활동을 통해 문단 내 성폭력과 남성 중심 권력 문제를 사회적 의제로 확산시켜 성 평등에 기여한 공로로 2018년 서울시 성평등대상을 받았다.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