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도서

문학 비소설 인문 경제/경영 자기계발 교육 청소년 주니어 실용
논어로 일의 이치를 풀다

논어로 일의 이치를 풀다

저자
이한우 지음
출간일
2021년 04월 30일
면수
284쪽
크기
152*225
ISBN
9788965743545
가격
19,800 원
구매처
교보문고 교보문고 알라딘 알라딘 YES24YES24

책소개

역사 속 위대한 리더와 팔로워들은 어떻게 일했을까?

『논어』가 말하고 역사가 검증한 일을 성공시키는 지혜와 방편! 


전 세계를 혼란에 빠트린 팬데믹을 계기로 많은 것들이 바뀌었다. 생각하는 방식, 일하는 방식, 살아가는 방식이 빠르게 변하면서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과 불안이 더 커졌다. 하지만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분명 끝까지 살아남고 성공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이 갖고 있는 특별한 능력은 과연 무엇일까. 

그동안 논어,  대학연의, 주역 등 일의 가치를 중심으로 군자학 분야를 뚝심 있게 연구해 온 이한우 작가가 이번에는 논어를 통해 ‘일 잘하는 법’을 알려준다. 그는 논어가 “일의 이치에 따라 일을 하고 일의 이치에 따라 사람을 잘 가려서 마침내 그 일을 성공으로 이끄는 법을 말해주는 책”이라고 설명한다. 그동안 우리 학계가 명분을 중시하는 주자학에 초점을 맞추어 논어에 나타나는 공자의 일 중심 사고를 읽어내지 못했다고 꼬집은 그는, 이번 책에서 공자의 현실주의에 입각해 논어를 좀 더 정확하고 설득력 있게 읽어내고자 한다. 또한 논어의 내용을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사 속 인물들에게 적용하여 이를 통해 독자들이 일의 이치를 분별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다. 


정도전의 실제 업무 능력은? 한무제가 사람을 뽑던 기준은?

파격 승진을 하던 홍국영의 발목을 잡은 것은?


일을 잘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단순히 ‘기술’적으로 뛰어나다고 해서 일을 잘한다고 하기에는 부족하다. 저자는 이를 알려주기 위해 ‘예(禮)’라는 단어의 의미를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예(禮)’라고 하면 예절이나 가례(家禮) 정도만 생각하는데, 이는 주희가 일상생활의 예를 모아 기록한『주문공가례(朱文公家禮)』를 만들어 예의 범위를 좁힌 데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논어』에서 말하는 ‘예’는 일의 이치, 즉 사리(事理)를 뜻하는 것으로 일과 관계가 모자라거나 과하지 않게 ‘정도’를 지키며 상황에 맞게 대처하는 것을 말한다. 

조선 세조 때 문신이었던 한명회는 공자가 말하는 대로 일의 범위를 넓혀 접근하는 사람이었다. 책에서는 그가 수양대군의 일등 책사가 되고 수양대군을 세조로 만들어내는 과정을 보여준다. 비록 말년 정치 인생이 순탄하지는 않았지만『논어』에서 일컫는 ‘일’을 ‘이치’에 맞게 처리하며 역사의 물줄기를 바꿔버린 대표적 인물임에는 틀림없다. 

정도전은 고려에서 조선으로 교체되는 격동의 시기에 이성계 옆에서 새 왕조를 만든 핵심 인물로 이성계의 총애를 받았지만 결정적으로 신뢰를 얻지 못해 정승 자리에는 오르지 못했다. 정작 이성계 곁을 지키고 있던 것은 조준과 김사형으로, 책에서는 이들 콤비의 활약에 주목하며 탁월한 실무 능력과 분수를 아는 처신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다.  

그 외에도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연산군의 폭군 스토리가 실상과는 동떨어진 픽션임을 밝히며 실록을 바탕으로 그의 진짜 실패 원인을 분석해 사리에 어두운 리더가 어떻게 일을 그르치는 알려준다. 그리고 정조와 홍국영의 사례를 통해 자신의 성과에 대해 지나치게 교만해지지 않도록 스스로 경계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복잡한 일과 관계 속에 파묻혀 사는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지혜


책은 나 자신을 파악하고, 타인을 헤아리고, 나아가 조직에서 성공적으로 일과 사람을 다스리는 법을 알려준다. 먼저 1장 ‘사리분별, 나를 다스리는 게 먼저다’에서는 일을 할 때 먼저 나의 마음을 어떻게 쓸 것인지 역사적 사례들을 통해 ????논어????의 가르침을 배워본다. 2장 ‘사람 사이에는 지켜야 할 것이 있다’에서는 일을 통해 사람을 보는 법, 타인의 마음을 알아내는 법 등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가 일을 해나가는 요체임을 알아본다. 3장 ‘일과 사람을 동시에 얻는 법’에서는 역사 속 군신 관계들을 살펴보며 직언을 하는 방법, 소인과는 다른 군자의 처신 등 관계를 잃지 않으면서 성공적으로 일을 성사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한다. 

『논어로 일의 이치를 풀다』에 담겨 있는 역사 속 성공과 실패 사례를 보면 일을 잘한다는 것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상황 파악을 정확하고 빠르게 하고, 일의 전체 맥락을 살피며 사사로운 관계와 욕망에서 벗어나 마땅한 이치에 따라 일을 하는 것이다. 아무리 시대가 복잡하게 바뀌어도 여전히 적용할 수 있는 원칙들로, ‘성장’과 ‘생존’이라는 두 과제를 안고 다음 스텝을 밟으려고 하는 수많은 리더와 팔로워들이라면 이 책을 통해 적절한 지침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자 및 역자

이한우

이한우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고려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 석사 및 한국외국어대 철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뉴스위크》와 《문화일보》를 거쳐 1994년 《조선일보》로 옮겼다. 2002~2003년 논설위원을 지낸 후 문화부 기자로 학술과 출판 관련 기사를 썼으며 문화부 부장을 역임했다. 현재 논어등반학교 교장으로 1년 과정의 논어 읽기 강좌를 비롯한 다양한 원전 강독 강의를 통해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군자 리더십을 설파하고 있다. 10여 년에 걸쳐 『조선왕조실록』을 탐독하며 조선 군주의 리더십 연구에 몰두해 온 저자는 「이한우의 군주열전」 시리즈, 즉『태종: 조선의 길을 열다』,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성종: 조선의 태평을 누리다』, 『선조: 조선의 난세를 넘다』, 『숙종: 조선의 지존으로 서다』, 『정조: 조선의 혼이 지다』를 펴냈고, 조선의 사상적 기반을 추적하는 데 있어 공자 사상에 주목해 『논어』로 사서삼경을 풀이하는 「이한우의 사서삼경」시리즈를 기획, 『논어로 논어를 풀다』, 『논어로 중용을 풀다』, 『논어로 대학을 풀다』, 『논어로 맹자를 읽다』를 출간했고, 리더의 입장에서 푼 『논어를 읽으면 사람이 보인다』, 조선왕조 ‘제왕학의 교과서’로 일컬어지는『대학연의』와 조선 후기 유학자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 『심경부주』를 완역하였다. 또 조선당쟁의 숨은 실력자인 구봉 송익필의 생애와 사상을 입체적으로 조명한『조선의 숨은 왕』, 조선사의 다양한 이면을 다루는 『조선사 진검승부』,『왜 조선은 정도전을 버렸는가』,『왕의 하루』,『조선을 통하다』, 고려사의 역동적 보도자료 논어로 일의 이치를 풀다 순간을 담은『고려사로 고려를 읽다』, 공자의 생애와 사상을 정리한『슬픈 공자』등도 그간의 연구 성과 중 하나다. 최근에 는『완역 한서』, 『이한우의 주역』을 완역하고,『이한우의 태종실록』시리즈를 통해 군주 의 리더십을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하고 있다. 그 외에도『우남 이승만, 대한민국을 세우다』, 『한국은 난민촌인가』, 『아부의 즐거움』등을 출간했다. 역서로는『해석학이란 무엇인가』, 『역사의 의미』, 『여성 철학자』 등 역사와 사회철학 분야를 아울러 20여 권이 있다.

본문 중에서

사람은 마음을 숨기고 있어 그 속을 헤아릴[測度] 길이 없으며 사람의 좋고 나쁜 점[美惡]은 모두 그 마음 안에 있어 그 얼굴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단 한 가지 방법[一]으로 그것을 알아내고자 한다면 예가 아니고서 무엇으로 할 수 있으랴!


자신이 먼저 예를 배워서 알지 못하면 다른 사람의 비례, 무례, 결례(缺禮), 실례(失禮) 등을 알아차릴 수 없다는 말이다.『논어』 ‘태백 편’에 나오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단순히 예를 갖추라는 도덕 명령이 아니라 사람을 제대로 알아보는 비결임을 새롭게 깨닫게 된다.


“공손하되 예가 없으면[無禮] 수고롭고, 삼가되 예가 없으면 두렵고, 용맹하되 예가 없으면 위아래 없이 문란해질 수 있고, 곧되 예가 없으면 강퍅해진다. 임금이 친족들에게 돈독히 하면 곧 백성들 사이에서 어진 마음과 행동이 자연스레 생겨나고, 또 (새로 등극한) 임금이 옛 구, 즉 선왕의 옛 신하들을 버리지 않으면 백성들은 구차한 짓을 하지 않는다[不偸=不苟].”


여기서 무례란 예를 배우지 않았다는 말이다. 바로 이 예의 자리에 다시 사리분별 혹은 현실감을 집어넣어 해석해 보면 그 뜻은 훨씬 명확하게 드러난다. 때와 장소를 제대로 가려가며 공손하고 조심하고 용맹하고 곧아야 한다는 말이다. 그리고 우리는 겉으로 드러난 그 사람의 공손, 조심, 용맹, 곧음만 보지 말고 그 사람이 상황에 맞게 행동을 하는지[隨時處變]를 보고서 판단할 때 사이비(似而非)가 아닌, 진짜 그 사람의 진면목을 꿰뚫게 되는 것이다.

― <말의 유려함이 아닌 행동의 마땅함을 보라> 중에서  


진복창의 권력욕은 그칠 줄을 몰랐다. 당시 병조판서 이준경은 윤원형도 함부로 못할 만큼 내외의 큰 신망을 얻는 인물이었다. 마침 사는 집도 가까워 진복창은 이준경과 친해지려고 무진 애를 썼다. 한번은 이준경의 친척인 이사증이 잔치를 베풀었는데 진복창이 이준경의 곁에 앉게 되었다. 이때 진복창은 술에 취해 이준경에게 “왜 구수담이 나를 저버렸는가?”라며 원망의 말을 했다. 이준경과 구수담은 아주 가까운 사이였다. 그런데 이날 잔치에 구수담의 며느리 집 여종이 일을 거들기 위해 왔다가 진복창이 하는 이야기를 엿듣고 구수담에게 전하였다. 이에 구수담은 “조만간 나에게 큰 화가 닥칠 것”이라고 걱정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실제로 구수담은 진복창의 모함에 걸려 목숨을 잃게 된다. (중략) 그러나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 했던가? 과(過)도 구차함이다. 과공비례(過恭非禮)가 전형적이다. 사림의 존경을 받고 있던 사람들이 진복창의 공작에 의해 화를 입게 되자 홍문관 직제학 홍담을 비롯한 뜻 있는 젊은 신료들이 들고일어났다. 이것이 계기가 돼 그동안 진복창의 손발 노릇을 하던 사헌부, 사간원까지도 돌아섰고 조정 대신도 진복창을 멀리 내쳐야 한다는 의견을 계속해서 올렸다. (증략) 현실 정치가이기도 했던 윤원형은 진복창을 더 이상 보호하다가는 화가 자신과 누님 문정왕후에게도 미칠 것을 예감하고 진복창을 삼수로 유배 보냈다.                 

― <그저 가진 것을 잃지 않으려 비루하게 살 것인가?> 중에서


이방원의 말은 적중했다. 만약에 최영(崔瑩)이 회군 소식을 보고받고 즉각 한씨와 강씨 등을 붙잡아 인질로 삼았다면 이성계의 회군은 어떻게 됐을지 알 수가 없다. 반면 그에 앞서 즉각 친어머니와 계모 및 가족을 이끌고 피신시킨 이방원의 이 행동은 일을 아는[知事] 자만이 취할 수 있는 조치다. 그 이방원은 최영을 일에 밝지 못한 사람[不曉事之人=不睿之人]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때 이방원의 나이 불과 22세였다. 다시『중용』제31장에 나오는 구절이다.


오직 천하제일의 빼어난 임금만이 능히 애씀의 이치를 샅샅이 살피고 꿰뚫어 보아[文理密察] 족히 분별력[別=辨]이 있게 된다.


문리(文理)는 흔히 말하듯 글의 이치가 아니다. 어떤 일을 성공시키려고 열렬하게 애쓰는 것을 말한다. 분별 혹은 분별력은 그런 이치를 밀찰(密察)하는 데서 생겨난다는 뜻이다. 대충대충 듬성듬성 보아서는 분별이 생겨날 수가 없다. 사리분별(事理分別)이라고 할 때의 분별은 이런 뜻이다. 

― <리더는 일을 통해 사람을 볼 줄 알아야 한다> 중에서

 

중종과 명종 때면 적어도 사대부들 사이에는 성리학이 극성기를 이루던 때였다. 목천(木川) 상씨(尙氏)라는 성에서 알 수 있듯 상진(尙震)은 아버지가 종6품 찰방이었던 한미한 집안 출

신이었다. 기묘사화가 터지기 전 사마시에 급제해 성균관에서 공부할 때 동료들이 유난히 선비 정신 운운하며 위선을 부리자 상진은 오히려 그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몽니를 부린 듯하다. (중략) 얼마 후에 문과에 급제해 당대의 명재상 정광필(鄭光弼)을 찾아가 인사를 했는데 

지인지감(知人之鑑)이 뛰어났던 정광필은 그를 보고서 주변 사람들에게 “게으른 정승감이 나왔다”고 극찬을 했다고 한다. 그렇다고 그가 다른 사람을 무시하는 안하무인의 성품의 소유자는 아니었다. 이수광은 『지봉유설』에서 “정승 상진은 인품과 도량이 넓고 커서 일찍이 남의 장단점을 말하는 일이 없었다”고 적고 있다.『대동기문』이라는 야사에 전하는 그의 일화도 이수광의 평과 일맥상통한다.


어떤 사람이 다리 하나가 짧아서 절뚝거렸는데 사람들은 혹 그를 가리켜 절름발이라고 했다.

그러나 공은 말했다. “짧은 다리는 딴 사람과 같으나 한 다리가 길다고 하라.” 평생에 남의 단처(短處)를 말하지 않는 것이 이와 같았다.


상진은 예, 즉 사리를 아는 사람이었기에 위태로움에 빠지지 않았다. 그렇다고 한 몸이나 지키려는 보신주의자는 아니었다. 오히려 겸손하되 당당한 현실주의자였다고 봐야 한다. 두루 요직을 거친 상진은 이조, 병조 판서를 거쳐 1551년(명종 6년)에 마침내 좌의정에 올랐다.

― <사람 사이에 가고 오는 것을 중요히 여겨라> 중에서


유붕자원방래란 말은 결국 신하들 중에 신뢰하며 뜻을 같이하는 신하가 있는데 먼 곳에, 즉 군주 주변의 사사로운 측근이나 근신이나 후궁들이 늘 해대는 익숙한 세계[近]에서 벗어난 곳에 가서 공정하고 비판적이고 때로는 귀에 거슬릴 수도 있는 불편하지만 곧은 이야기들을 듣고서 바야흐로 들어온다는 말이다. 그러면 당연히 어떤 식으로건 그런 이야기를 다양한 방식으로 전할 수밖에 없다. 그것은 군주로서 불편한 정도를 넘어 불쾌하고 크게 화가 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일 그렇게 한다면 아무리 신뢰를 공유하고 뜻을 같이한다 해도 신하의 입장에서 쉽게 말을 꺼내기가 어렵다. 그것은 온전히 군주의 마음 자세에 달렸다. 겉으로만 즐거워해서도 신하는 입을 떼기 어렵다. 진실로[亦] 그러할 때라야 신하는 조심스럽게 군주의 허

물들을 피하지 않고 전달할 수가 있다. 눈 밝은 독자라면 벌써 알아차렸을 것이다. 고대 중국으로부터 우리 조선 시대까지 면면하게 이어진 언관(言官)의 간쟁(諫爭) 정신은 바로 이 같은 임금의 열린 마음이 전제될 때 제대로 발휘될 수 있었다.                     

― <신뢰를 얻지 못한 간언은 비방이다> 중에서


『논어』에는 곧음[直]의 문제가 표면적으로 드러난 것도 있지만 문장이나 문맥의 배후에 작동하고 있는 것도 많다. 그것들을 충분히 이해할 때라야 비로소 곧음이 바로 일의 이치[事理]임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그냥 정직이나 직언이라고 할 때의 곧음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람을 사람이게 해주는 것은 곧음이다. 곧음이 없는 삶은 요행히 죽음을 면한 것에 불과하다.”


이런 곧음은 곧 위선(僞善)을 물리치는 것이다. 위선은 결국 남을 의식해서 하는 것이지 본심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헌문 편’의 대화는 사리에서 행동의 지침으로까지 나아간다.


어떤 이가 물었다. “덕으로 원한을 갚는 것은 어떻습니까?”

공자가 말했다. “그러면 덕은 무엇으로 갚을 텐가? 원한은 곧음[直]으로 갚고 덕은 덕으로 갚아야 한다.”


그것은 곧 남들이 알아주건 알아주지 않건 스스로의 원칙에 입각해 덕(德)을 기르고 마땅함[義]에 따라 행동하는 문제와 연결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논어』의 첫머리에 학이시습(學而時習), 유붕자원방래(有朋自遠方來)와 더불어 다음의 유명한 구절이 3대 강령의 하나로 나란히 배치돼 있는 것이다.


“남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속으로조차 서운해하지 않을 때라야 진정 군자가 아니겠는가?”

― <곧음은 난세를 잘 살아내는 일의 이치다> 중에서

추천사

목차

들어가는 말: 리더와 팔로워가 일하는 법을 알려주는 책, 『논어』

 

1장 사리분별, 나를 다스리는 게 먼저다

처음을 삼가고 끝도 삼가라

말의 유려함이 아닌 행동의 마땅함을 보라

리더의 혼매함을 경계하라

사람의 일에 있어 그 출발점은 효다

부끄러움을 알고 구차하지 않게 살라

그저 가진 것을 잃지 않으려 비루하게 살 것인가? 


2장 사람 사이에는 지켜야 할 것이 있다

리더는 일을 통해 사람을 볼 줄 알아야 한다

‘위를 범하려는 마음’은 비례, 무례, 결례의 뿌리다

어떻게 일을 다스릴 것인가?

사람 사이에 가고 오는 것을 중요히 여겨라

자랑을 하는 것은 비례, 자랑을 참는 것은 사리다

큰 공로를 세울수록 몸을 낮추어라


3장 일과 사람을 동시에 얻는 법

육척 고아를 맡길 만한 사람을 골라라

힘을 읽는 눈은 사리분별의 첫걸음이다

설익은 곧음이 오히려 화를 부른다

직언에도 비결이 있다

신뢰를 얻지 못한 간언은 비방이다

뛰어난 리더도 간교한 부하들에게 속아 넘어갈 수 있다

상도 너머에 권도가 있다

곧음은 난세를 잘 살아내는 일의 이치다

팔로워가 명심해야 할 일의 태도

군자가 처신하는 도리, 소인이 처신하는 행태

사람을 그릇에 맞게 쓰고 도리로써 섬긴다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