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도서

문학 비소설 인문 경제/경영 자기계발 교육 청소년 주니어 실용
어린이 서양철학 1 - 달려라 플라톤

어린이 서양철학 1 - 달려라 플라톤

우리를 둘러싼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질문하기

저자
어린이철학연구소 지음 / 임정아 그림
출간일
2022년 03월 15일
면수
176쪽
크기
172*235
ISBN
9791167140241
가격
13,000 원
구매처
교보문고 교보문고 알라딘 알라딘 YES24YES24

책소개

생각의 힘을 키워주는 노마의 시간여행 <어린이 서양철학> 시리즈

‘생각의 대가’인 역사 속 서양철학자들과 함께 질문하고 탐구하고 답하며

인공지능 시대를 헤쳐나가기 위한 비판적 사고력을 기른다!


인공지능이 고도로 발전하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능력은 무엇일까?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능력, 스스로 생각하고 답을 찾아가는 비판적 사고력이다.

어린이들에게 이러한 비판적 사고력의 토대를 만들어줄 <어린이 서양철학> 시리즈(전 3권)가 출간됐다. 이 책은 15년간 꾸준히 사랑받아온 <노마의 발견> 시리즈 중 ‘어린이 서양철학’ 편을 새로운 표지로 꾸민 개정판이다.

<어린이 서양철학> 시리즈는 어린이철학교육연구소가 오랜 철학 교육 경험을 살려 집필한 책으로, 난해한 개념들을 걷어내고 아이들이 어렵고 추상적으로 느낄 수 있는 철학을 쉽고 친근하게 접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초등학생 주인공 노마가 시간여행을 하며 철학사를 수놓은 서양철학자들을 만나고 그들의 주요 개념을 자연스럽게 소개한다. 철학자들을 만나 일상의 궁금증을 해결해 가는 이야기를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철학자의 사상과 철학의 역사를 익히게 된다.

시리즈의 첫 번째 도서인 『어린이 서양철학 ➊ 달려라 플라톤』에서는 소크라테스, 플라톤을 비롯한 고대의 철학자들과 에피쿠로스·스토아 학파를 만난다. “이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졌을까?” “행복은 무엇일까?” 등의 질문을 던지고 스스로 답을 찾아간 이들의 이야기를 들은 노마는 사물을 직접 보고 스스로 묻고 생각하는 철학 정신을 깨쳐나간다.

어린이들이 서양철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서양철학은 인류 지성사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해 왔다. 고대부터 서양철학자들이 탐구하여 이룩한 사상의 꼭대기에 올라선다면 삶의 고민과 세상의 문제를 좀더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힘을 기를 수 있다.

이 책은 보다 생생하게 철학사를 접할 수 있도록 철학자들의 모습이나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진은 물론, 재미있는 일러스트를 함께 구성했다. 어린이들이 궁금해할 만한 배경지식은 [노마의 궁금증] 박스를 통해 알아볼 수 있고, 시대적 배경과 철학 사상은 각 장의 끝의 [박사님과 함께]를 통해 요약 정리할 수 있다.

탈레스에게 “물고기도 아닌데 세상 모든 것이 물로 이뤄져 있는 게 맞나요?”라고 묻고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진짜 행복이 뭐예요?”라고 묻는 노마의 모습을 통해 ‘묻고 생각하고 답하는’ 철학의 과정을 아이들도 충분히 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어린이철학교육연구소의 박민규 소장은 “어린이들과 함께 소크라테스식 대화와 토론을 통해 철학적 탐구를 해오면서 얻은 확신이 있다. 어린이들은 누구보다 철학적인 궁금증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끈질기게 캐묻고 따지는 철학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라며 철학을 통해 어린이들도 충분히 비판적 사고력을 키워나갈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와 같은 비판적 사고 과정을 체득하고 생활에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 이 책이 기대하는 바이다.


저자 및 역자

본문 중에서

탈레스부터 소크라테스까지 중에서 이 세상의 근원을 탐구한 고대 철학자들은 어떻게 생각했을까?

우리를 둘러싼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질문하기


“아저씨는 누구세요?”

“나는 탈레스란다.”

“네? 철학자 탈레스 말씀이신가요?”

“그래. 너의 진지한 생각을 기특히 보신 진리의 여신께서 나를 이곳에 보내 주셨다. 너를 도와주라는 분부셨단다.”

노마는 너무나 놀랍고 당황했지만 이내 마음을 가다듬고 기회를 놓칠세라 물어보았다.

“그런데 정말 이 세상의 근원은 분명 물이다. 하지만 내 말을 무조건 믿지는 마라. 내가 그랬듯이 너도 네 앞에 놓인 사물들을 직접 보고서 스스로 묻고 생각해 보아야 한다.”

“그게 참된 철학의 정신인 거죠?”

“역시 똑똑하구나. 하지만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배우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어떤 분들에게 배워야 하나요?”

“훌륭한 철학자는 많이 있다. 그분들에게 배울 수 있는 길을 가르쳐 주마.”

― 「아낙시만드로스 - 정해지지 않은 것이 만물의 근원」 중에서


“세계가 수로 되어 있다는 말씀인가요?”

“그렇고말고.”

“그건 좀 이상해요. 어떻게 1, 2, 3과 같은 끝도 없는 수가 모여 세계를 만들 수 있지요?”

노마가 의아한 표정으로 피타고라스를 보며 물었다.

“1 더하기 2는 3이고 5 더하기 8은 13이지만, 무수히 많은 수와 무수히 많은 수의 합이 이 세상의 모든 것은 아니잖아요.”

“내 말은 수학의 덧셈처럼 수를 더해 나가서 이 세계가 이루어졌다는 뜻이 아니야.”

“그럼요?”

“이 돌산을 보렴. 만약 처음부터 쌓아 올려진 돌의 수나 무게 등이 일정한 비례를 갖지 않았다면 균형을 잡지 못해 금방 무너졌을 거야.”

“그야 당연하지요.”

“그것처럼 이 세계는 보이지 않는 수의 비례, 수의 질서가 구석구석 스며 있어서 조화롭게 움직이고 있는 거란다. 말하자면 수의 힘이 모든 것을 지배하고 있는 셈이지.”

― 「피타고라스 - 세상을 지배하는 수의 힘」 중에서


“아테네 사람들은 할아버지를 버렸는데 왜 떠나지 않겠다는 건가요?”

소크라테스는 동민이를 위로하듯 부드럽게 말했다.

“그저 살아 있다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야. 바르게 사는 것이 아니면 살 가치가 없어.”

노마가 안타까운 마음에 외쳤다.

“하지만 할아버지를 저버린 아테네 사람들의 손에 할아버지가 죽는다는 건 말도 안 돼요! 지금 도망가는 건 나쁜 게 아니에요. 단지 나쁜 법을 잠시 피해 가는 것뿐이잖아요.”

“나는 일생 동안 국가의 은혜를 입고 살아왔단다. 그런데 형편이 나에게 불리하다고 해서 국가의 법을 어기는 건 비열하고 수치스러운 일이지 않겠니? 악법도 법이란다.”

나리도 눈물을 흘리며 외쳤다.

“그렇다고 옳지 않은 법을 지킨다는 건 바보 같은 행동 아니에요?”

“그럴까? 나는 여태까지 법은 지켜져야 한다고 생각하며 살아왔고, 그것이 바로 정의로운 삶이라고 여겨 왔단다. 그런데 죽음이 두려워 나의 신념을 깨 버린다면 내 평생은 헛된 삶이 되고 말 거야. 내 신념을 위해서 나는 기꺼이 죽을 각오가 되어 있단다.”

― 「소크라테스 2 - 악법도 법이다」 중에서


동민이가 자신있게 말했다.

“쾌락만이 행복에 이르는 길이라면, 하기 싫은 공부는 안 해도 되겠네요?”

노마도 동민이의 말이 맞다고 생각했다.

“맞아요. 감각에 나쁜 것이 고통이라면, 하기 싫은 공부를 하는 것은 고통일 테니까 재미있는 오락만 하면 행복한 거네요.

에피쿠로스 아저씨가 단호하게 말했다.

”오해하지 마라. 내가 말하는 쾌락은 단순히 고통만을 피하는 것이 아니란다. 비록 당장은 고통이 될지라도 그 고통을 이겨내서 더 큰 쾌락이 될 경우에는 그 고통은 참아야 되는 거야.”

“하지만 나중에 더 큰 고통이 될지 쾌락이 될지 어떻게 알고 참아요? 그보다는 당장 즐거운 것이 진정한 쾌락이 아닐까요?”

“잠깐 동안의 쾌락은 오히려 더 큰 고통을 가져오는 거야. 예를 들어, 친구들과 하루 동안 신나게 놀기 위해 남의 돈을 훔친다면 우리의 마음은 불안과 죄책감으로 괴로울 거야.”

― 「에피쿠로스 학파 - 조그만 쾌락으로 행복한 삶」 중에서

추천사

목차

머리말


1장 철학이 처음 꽃피던 시절 

탈레스 - 만물의 근원은 물|아낙시만드로스 - 정해지지 않은 것이 만물의 근원|아낙시메네스 - 모든 것은 공기에서|피타고라스 - 세상을 지배하는 수의 힘|헤라클레이토스 - 모든 것은 변한다|파르메니데스 - 있는 것이 있다|엠페도클레스 - 네 가지 뿌리에서 만물이 난다|아낙사고라스 - 모든 것에는 각각 씨앗이 있다|데모크리토스 - 진짜 있는 것은 원자와 공간뿐

⁂ 박사님과 함께


2장 아테네를 빛낸 철학의 영웅들 

소크라테스 1 - 너 자신을 알라|소크라테스 2 - 악법도 법이다|플라톤 1 - 이데아가 참된 것|플라톤 2 - 이상 국가를 찾아서|아리스토텔레스 - 학문의 아버지|스토아 학파 - 행복을 얻으려면 욕심을 버려라|에피쿠로스 학파 - 조그만 쾌락으로 행복한 삶

⁂ 박사님과 함께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