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도서

문학 비소설 인문 경제/경영 자기계발 교육 청소년 주니어 실용
심경부주

심경부주

송나라 진덕수가 경전과 격언에서 선별한 마음에 관한 책 『심경』이
명나라 정민정에 의해 인용과 주석으로 구체화한 『심경부주』로 거듭나다!

저자
진덕수·정민정 지음 / 이한우 옮김
출간일
2015년 11월 20일
면수
432쪽
크기
158*230
ISBN
9788965745051
가격
39,000 원
구매처
교보문고 교보문고 알라딘 알라딘 YES24YES24

책소개

“마음을 다스리는 요체가 여기에 모두 실려 있으니,
공경히 읽지 않을 수 있겠는가.” ―『효종실록』


송나라 진덕수가 경전과 격언에서 선별한 마음에 관한 책 『심경』이
명나라 정민정에 의해 인용과 주석으로 구체화한 『심경부주』로 거듭나다!

『조선왕조실록』을 탐독하며 조선 왕의 리더십을 추적해 온 학술 저널리스트 이한우가 ‘제왕학(帝王學)의 교과서’로 불리며 조선 전기의 기틀을 다지는 데 큰 역할을 한 『대학연의(大學衍義)』를 완역한 후, 수신(修身)과 치국(治國)의 통치 철학으로 조선 후기를 이끈 『심경부주(心經附註)』를 번역해 출간한다.
『심경부주』는 『대학연의』의 저자 진덕수(眞德秀, 1178~1235)가 『서경(書經)』 『시경(詩經)』 『주역(周易)』 『논어(論語)』 등 유교 경전과 송대 유학자 주희, 주돈이, 범준, 정이천 등의 글에서 마음의 본질과 운용 방법을 설명한 부분들을 선별?발췌하여 37장으로 구성해 엮어 지은 『심경(心經)』에, 250여 년 후 명나라 유학자 정민정(程敏政, 1445~1499년)이 다른 유학자들의 해석을 인용하거나 자신의 의견을 덧붙여 총 4권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동양적 학문법과 사유 방식의 진수를 보여준다.
조선에서는 중종이 『심경』을 서연(書筵)에서 강독하자고 전교를 내렸고, 조선 후기 문화를 꽃피운 영조와 정조도 『심경부주』를 깊이 읽으며 강론하는 등, 신하가 왕에게 『심경부주』를 권하거나 왕이 직접 경연에서 강(講)하는 내용이 『조선왕조실록』에 200여 번 등장하고 있어, 조선사상사를 살펴보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책이다. 또한 퇴계 이황이 “심학의 연원과 심법의 정미함을 알았다”며 이 책을 중시한 후 그 뜻이 후학들에게도 이어졌고, 마음의 이치에 대한 퇴계학파와 율곡학파 사이의 첨예한 논쟁이 조선 유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추상적인 ‘마음[心]’의 개념을 ‘공심(公心)’으로 해석한 진덕수는 사람의 마음[人心]은 본디 사사로운 욕심이나 욕망에 의해 쉽게 흔들리므로 좋은 정치를 실현하려는 사람이나 공공의 이익을 위해 일하는 사람은 스스로의 마음을 끊임없이 갈고닦아서 도리의 마음[道心]을 잃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했고, 경계하고 삼가야 할 것과 꾸준히 훈련하고 배워야 할 것들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역자는 번역 저본으로 조선 명종 21년(1566년) 간행 판본(대만국립도서관 소장 및 공개)을 기초로 여러 저본들을 참고했다. 4~5차례 번역 출간된 책이지만 비전공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우리말로 번역하고자 하여 한문의 노출을 최대한 줄이고 끊어 읽기 순서에 맞춰 한자의 음을 달아 가독성을 높였다. 또한 역주로 출처 및 주요 인물의 생몰연도 및 설명을 추가함으로써 책의 완성도를 높였다.
조선 국왕들과 유학자들이 곁에 두고 반복해서 읽은 『심경부주』는 사서오경(四書五經)을 내면화한 조선시대 선비들의 심리 구조를 이해하고 유학적 리더십의 본질을 통찰하게 해준다. 또한 경영인에서부터 정치인까지 조직과 사회를 이끄는 리더라면 가져야 하는 리더십의 근본과 구체적인 실천법을 알려주어 현재적으로 유용한 책이다. 이와 더불어 역자와 (주)해냄출판사는 앞으로 진덕수의 저술인 『문장정종(文章正宗)』과『서산독서기(西山讀書記)』도 차례로 번역·출간해 한문 고전을 통해 배우는 동양의 정신을 계속 소개할 예정이다.

저자 및 역자

본문 중에서

순임금이 말했다.
“사람의 마음이란 오직 위태위태한 반면 도리의 마음은 오직 잘 드러나지 않으니 (그 도리를 다하려면) 정밀하게 살피고 한결같음을 잃지 않아 진실로 그 적중해야 할 바를 잡도록 하여라.”


帝曰제왈 人心인심惟유危위 道心도심惟유微미 惟유精정惟유一일 允윤執집厥궐中중

주자(朱子)가 말했다.
“마음[心심]의 텅 빈 영혼과 알고 깨닫는 기능[虛靈허령知覺지각]은 하나일 뿐인데도 사람의 마음[人心인심]과 도리의 마음[道心도심]에는 차이가 있다고 한 것은 어떤 때는 형체와 기운[形氣형기]이 각 개인마다 다를 수밖에 없음[私사]에서 생겨나기도 하고 어떤 때는 본성과 천명[性命성명]의 바름[正정]에서 생겨나오지만 알고 깨닫는 것이 똑같지 않은 데서 비롯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마음은) 어떤 때는 위태로워서 안정되지 않고 어떤 때는 미미하여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사람이라면 이런 형체를 갖고 있지 않을 수가 없기 때문에 비록 최고의 지혜[上智상지]를 가진 사람이라 하더라도 사람의 마음이 없을 수 없고, 또한 (사람이라면) 이런 본성을 갖고 있지 않을 수가 없기 때문에 비록 최하의 어리석음[下愚하우]을 가진 사람이라 하더라도 도리의 마음이 없을 수 없으니 (사람의 마음과 도리의 마음) 이 두 가지가 마음[方寸방촌] 안에 섞여 있다. 그래서 마음을 다스리는 방도를 알지 못하면 위태로운 것[危者위자=人心인심]은 더욱 위태로워지고 (잘 드러나지 않는) 미미한 것[微者미자=道心도심]은 더욱 드러나지 않게 되어, 하늘과도 같은 이치[天理천리]의 공(公)은 끝내 사람의 욕심의 저 사(私)를 이길 수가 없다.
―「1 사람의 마음과 도리의 마음에 대해 말하다」 중에서

주자가 말했다.
“시에서 말하기를 네가 군자들과 벗 사귈 때를 살펴보면 너의 낯빛을 온화하고 부드럽게 하여 조심하고 두려워하는 마음을 품고서 항상 스스로 살피기를 ‘무슨 허물이라도 짓지나 않을까’라고 한다고 했다. 대개 일반 사람들의 실상[情정]을 보면 (남들이 다 지켜보는) 훤히 드러나는 곳에서 자신을 단속하는 모습[修수]은 이와 같지 않은 바가 없다.
그러나 네가 홀로 방 안에 머물 때에도 또한 마땅히 방구석에도 부끄러움이 없게 해야 한다. 그래서 여기는 훤히 ‘드러나지 않는 곳이라 하여 나를 보는 이가 없다고 말하지 말라’고 한 것이다.
귀신의 신묘함[妙묘]은 어떤 사물이나 일에도 그 본바탕[體체]을 이루지 않음이 없으니 (우리는 비록 알 수 없지만) 홀로 있을 때에도 귀신이 와서 보고 있다는 것을 헤아리지는 못하더라도 귀신이 와서 보고 있다는 것 자체는 반드시 알아야 한다.
그래서 훤히 드러나지 않은 때에도 귀신이 또한 임하여 오히려 잘못이 있으면 어떡하나 두려워해야 하는데 하물며 귀신을 싫어하여 삼가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이는 단지 남들이 다 지켜보는 밖에서 자신을 단속해야 할 뿐만 아니라 또한 (자기 안에서) 아무도 보지 않고[所소不睹부도] 아무도 듣지 않는 곳[所소不聞불문]에서도 조심하고 삼가며 두려워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3 네가 군자들과 벗 사귀는 것을 살펴보다」 중에서

명도(明道) 선생이 장자(張子)에게 말했다.
“사람의 감정 중에서 쉽게 일면서도 제어하기 어려운 것으로는 저 성냄[怒노]이 아주 심하다. 만일 크게 성이 났을 때에는 그 성낸 것을 빨리 잊어버리고 이치의 옳고 그름을 잘 살피게 되면 진실로 외부에서 자극한 것[外誘외유]을 미워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고 나아가 생각은 벌써 도리의 절반을 넘어서 있게 된다.”

주자가 말했다.
“빼어난 사람들[聖人성인]의 기쁨과 성냄[喜怒희로]은 크게 공평무사하여[大公대공] 순조롭게 순리에 따르니 하늘과도 같은 이치의 표준[天理천리之지極극]이 되는 반면, 일반 사람들[衆人중인]의 기쁨과 성냄은 그 자체가 사사로워[自私자사] 억지로 머리를 써야 하니 사람의 욕심이 번성한 것[人欲인욕之지盛성]이 된다. 성냄을 잊어버리면 공평무사해지고 이치를 잘 살피면 순조로워진다. 이 두 가지는 그 자신에게로 돌아가서[自反자반] (욕심 등으로 인해) 가려진 바[蔽폐]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장자가 도리에 이른 경지는 진실로 뒤에 배우는 자[後學후학]들이 감히 이렇다 저렇다 할 바는 아니다. 그러나 짐작건대 그에게는 억지로 탐구하고 힘으로 얻으려는[强探강탐力取역취] 뜻이 많은 반면에 함양을 통해 내적으로 완전하게 기르는 공효는 적은 듯하다. 그래서 (나는) 이 점에 대해 의심하는 바가 없지 않았는데 정자가 여기서 그것을 밝혀주고 있으니 그 뜻이 참으로 깊다고 하겠다.”
―「6 화를 누르고 욕망을 막다」 중에서

난계(蘭溪) 범씨(范氏)가 말했다.
“좋음과 이익[善利선리]에 대한 각각의 생각은 그 사이에 머리털 하나도 용납하지 않을 만큼 가깝다. (그렇지만 이런) 털끝만 한 차이에서 결국 순임금과 도척이 나눠지는 것이니 배우는 자가 경계하고 또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이익이라고 해서 반드시 재물의 이익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니, 무릇 (자기에게) 이롭고자 하는 마음이 있으면 모두 다 이익이다. 그래서 내가 맹자의 뜻을 더욱 발전시켜 순임금과 도척의 비교표[舜蹠圖순척도]를 만들어보았다. 이는 좋음과 이익에 대한 생각이 마음에서 일어날 때 처음에는 (그 차이가) 아주 미미하지만 (뒤에 가서) 얻고 잃음[得失득실]의 서로 떨어짐[相去상거=相距상거]은 구천(九泉-깊은 땅속)의 아래와 중천(重天-높은 하늘 끝)의 꼭대기(와의 거리)와 같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또 내가 생각해 볼 때 설사 순임금이라도 한 번 생각하지 않으면[罔念망념] 마음을 마구잡이로 하는 사람[狂광=狂人광인]이 되고, 설사 도척이라도 한 번 잘 생각하면[克念극념] 빼어난 이[聖성=聖人성인]가 된다. 사람이 위태로움[危위=人心인심]과 은미함[微미=道心도심]의 사이에서 이것을 안다면 진실로 도리에 가까울 것이다. 그래서 또 잘 생각하는 것과 생각하지 않는 것의 설을 순임금과 도척에 각각 붙였다.”

                                                    마음[心심]
                                          이익[利이]    선[善선]
                                          도척(盜蹠)    순임금
                                    잘 생각하는 것    생각하지 않는 것
                                           [克念극념]    [罔念망념]
                                       빼어남[聖성]    제멋대로 함[狂광]

                                순임금과 도척의 비교표[舜蹠圖순척도]

 ―「29 닭이 울면 일어나다」 중에서

추천사

목차

들어가는 말 

진덕수의 찬 

제1권
1 사람의 마음과 도리의 마음에 대해 말하다_『서경』 「우서」 ‘대우모’
2 상제가 너에게 임하다_『시경』 「대아」 ‘대명’, 「노송」 ‘비궁’
3 네가 군자들과 벗 사귀는 것을 살펴보다_『시경』 「대아」 ‘억’  
4 사특함을 막아 열렬함을 보존하다_『주역』 「문언전」 
5 삼감으로써 안을 곧게 하다_『주역』 「문언전」 
6 화를 누르고 욕망을 막다_『주역』 「상전」
7 좋은 쪽으로 바뀌어 허물을 고치다_『주역』 「상전」 
8 멀리 가지 않고 돌아오다_『주역』 「계사전」
9 공자가 네 가지를 끊어버리다_『논어』 「자한」 
10 안연이 어짊을 묻다_『논어』 「안연」 
11 중궁이 어짊을 묻다_『논어』 「안연」 
12 하늘이 명한 것을 본성이라고 한다_『중용』 제1장 
13 (물속에) 잠기어 비록 엎드려 있다_『시경』, 『중용』 제33장

제2권
14 뜻을 열렬하게 하다_『대학』 전 6장
15 마음을 바르게 하다_『대학』 전 7장  
16 예와 악은 잠시 동안이라도 몸에서 떠날 수 없다_『예기』 「악기」  
17 군자가 실상을 회복하여 뜻을 조화롭게 하다_『예기』 「악기」 
18 군자가 그 도리를 얻는 것을 즐거워하다_『예기』 「악기」 
19 사람은 누구나 남에게 차마 모질게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갖고 있다
                                                                 _『맹자』 「공손추 장구 상」
20 화살 만드는 사람과 갑옷 만드는 사람을 비교하다_『맹자』 「공손추 장구 상」
21 대인의 마음을 어린아이의 마음과 비교하다_『맹자』 「이루 장구 하」

제3권
22 우산의 나무에 관해 말하다_『맹자』 「고자 장구 상」
23 어짊은 사람의 마음이다_『맹자』 「고자 장구 상」 
24 약손가락에 관해 말하다_『맹자』 「고자 장구 상」
25 사람이 자기 몸에 대해서는 구석구석 사랑하는 바를 겸하다_『맹자』 「고자 장구 상」
26 누구는 대인이 되고 누구는 소인이 된다_『맹자』 「고자 장구 상」
27 굶주린 자는 달게 먹는다_『맹자』 「진심 장구 상」
28 생선 요리를 포기하고 곰 발바닥 요리를 택하다_『맹자』 「고자 장구 상」

제4권
29 닭이 울면 일어나다_『맹자』 「진심 장구 하」
30 마음을 길러냄에 관하여 1_『맹자』 「진심 장구 하」
31 마음을 길러냄에 관하여 2_주자
32 빼어남은 배울 수 있다_『통서』
33 보고 듣고 말하고 움직이는 것을 경계하다_정자
34 마음을 위해 경계하는 말에 관하여_범준 
35 삼가고 경계하는 말에 관하여_주자 
36 놓아버린 마음을 되찾기 위해 경계하는 다짐에 관하여_주자
37 다움과 본성을 높이기 위해 경계하는 다짐에 관하여_주자

정민정의 심경후서

찾아보기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