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디셀러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세상의 모든 딸들이여, 건투를 빈다!

저자
공지영 지음
출간일
2016년 11월 30일
면수
424쪽
크기
200*130
ISBN
9788965745747
가격
14,000 원
구매처
교보문고 교보문고 알라딘 알라딘 YES24YES24

책소개

세상의 모든 딸들이여, 건투를 빈다!

연극, 영화, 뮤지컬로 만들어진 공지영 신드롬의 시작

 

누군가와 더불어 행복해지고 싶었다면

그 누군가가 다가오기 전에 스스로 행복해질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성적 차별과 억압,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고발을 넘어

주체적이고 행복한 삶의 가능성을 탐색한 작품

 

첫 출간 후 20년이 넘도록 독자들의 사랑을 꾸준히 받아 온 공지영 작가의 대표작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가 새롭게 독자들과 만난다. 여성에 대한 억압과 차별, 그리고 편견 등의 문제를 사회 전반의 문제로 끌어올린 작품으로, 출간 당시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으며 페미니즘 논쟁의 중심에 자리하기도 했다.

주인공 혜완이 친구 경혜에게서 영선의 자살 시도 소식을 전화로 전해 듣는 사건으로부터 시작되는 이 소설은, 결혼 후 각자의 삶을 잘 살고 있는 것처럼 보였던 이들이 서로의 삶을 오롯이 알아가면서 점차 드러나는 삶의 정체에 혼란스러워하는 모습으로 사건이 전개된다. 대학 졸업과 동시에 결혼하고 아이를 낳았지만 불의의 사고로 아이를 잃고 이혼한 채 소설가의 삶을 살고 있는 혜완, 아나운서 활동 중 의사와 결혼했으나 남편의 외도로 형식적인 부부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경혜, 세간의 주목을 받는 영화감독의 아내이지만 알코올중독으로 자살 시도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영선을 통해 작가는 우리들의 삶이 자기 자신의 기대와 달리 상처투성이가 되는 이유가 어디에 있을까를 추적한다.

작가는 남자 또는 이 사회가 여자에게 ‘착한 여자’, ‘똑똑한 여자’, ‘능력 있는 여자’의 역할을 동시에 요구한다는 데 집중한다. 그 과정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여자도, 그것을 요구하는 남자 스스로도 알지 못한 채 모순된 선택을 하면서 비극적인 상황을 맞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작가가 문제의 원인을 남성에게 전가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어머니들은 딸들에게는 자신과 다른 생을 살라고 가르쳤고, 그리고 아들들에게는 아버지와 같은 삶을 살라고 가르쳤지”라는 혜완의 말과 같이, 그것은 특정한 한 사람의 잘못이 아닌, 우리 모두가 함께 고민해야 하는 문제인 것이다. 작가가 이 소설의 주제는 ‘페미니즘’이 아니라 ‘아무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가르쳐 주지 않은 삶에 대한 이야기’라고 한 것과 그 맥락이 같다.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말은 한 인간이 스스로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낼 수 있을 때, 남자 또는 타인, 그리고 세상과의 건강한 관계가 가능할 수 있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작가는 이 작품을 처음 발표할 당시 이렇게 썼다. “남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혹은 격렬하게 싸우며 끝내는 손잡고 함께 걸아가기 위해서 나는 글을 시작했다.”

이 소설이 처음 출간되었을 때도, 그로부터 20년이 훌쩍 넘은 지금도, 그 문제의식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사실을 아무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지금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남성과 여성을 둘러싼 무수한 논란이 지향해야 하는 방향을 깊이 시사해 주는 작품이다.

저자 및 역자

공지영

공지영

1963년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1988년 《창작과 비평》에 구치소 수감 중 집필한 단편 「동트는 새벽」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데뷔했다.1989년 첫 장편 『더 이상 아름다운 방황은 없다』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1993년에는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를 통해 여성에게 가해지는 차별과 억압의 문제를 다뤄 새로운 여성문학, 여성주의의 문을 열었다. 1994년에 『고등어』『인간에 대한 예의』가 잇달아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명실공히 독자에게 가장 사랑받는 대한민국의 대표 작가가 되었다. 대표작으로 장편소설 『봉순이 언니』『착한 여자』『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즐거운 나의 집』『도가니』『높고 푸른 사다리』 등이 있고, 소설집 『인간에 대한 예의』『존재는 눈물을 흘린다』『별들의 들판』『할머니는 죽지 않는다』, 산문집 『상처 없는 영혼』『빗방울처럼 나는 혼자였다』『공지영의 수도원 기행 1, 2』『네가 어떤 삶을 살든 나는 너를 응원할 것이다』『아주 가벼운 깃털 하나』『공지영의 지리산 행복학교』『딸에게 주는 레시피』『시인의 밥상』 등이 있다. 2001년 21세기문학상, 2002년 한국소설문학상, 2004년 오영수문학상, 2007년 한국가톨릭문학상(장편소설 부문), 그리고 2006년에는 엠네스티 언론상 특별상을 수상했으며, 2011년에는 단편 「맨발로 글목을 돌다」로 이상문학상을 받았다.

본문 중에서

언젠가 이런 일도 있었다. 오랜만의 동창들의 모임이었다. 아이들 이야기, 남의 집 부부싸움 이야기가 오갔다. 남편의 자랑만 늘어놓는 친구도 있었다. 그때 영선이가 이렇게 말했다. 아마도 결혼 생활에 있어서 여자가 현명하다는 것은 무엇인가 이런 이야기들이 오갈 무렵이었다.

―똑똑하다 해도, 아무리 공부를 잘했다 해도, 세상의 온갖 지혜를 다 가졌다 해도 운명이 더 강해! 운명만큼 무서운 건 없어.

동창들은 데리고 온 아이들의 뒤치다꺼리를 하고 과일을 깎고 하느라 아무도 영선의 말에 반응하지 않았다. 하지만 혜완만은 그 말이 무슨 뜻인지 알아들었다. 영선은 마치 이렇게 말하고 있는 것 같았다.

―불행이 무엇인지 모욕이 무엇인지, 생이라는 게 얼마나 불가사의하고 고통으로 가득 차 있는지 느껴본 사람들과 이야기하고 싶어! 그들에게는 내 말을 들을 귀가 있을 거야.

―「나에게 남은 유일한 진실은 내가 이따금 울었다는 사실뿐이다」 중에서

 

“내 말은 우리들은 어머니들이 다른 남자들 앞에서 자주 웃거나 하면 안 되는 걸로 알고 자란 남자들이란 말이야. 대한민국의 그냥 보통 남자 말야. 내 말은 그런 뜻이었어.”

“우리들은 어머니들이 그런 걸 보고 자랐어. 다른 점은 말이야, 우리들은 그런 어머니들의 생이 결코 행복하지만은 않다는 걸 알아차렸다는 거야. 너희 남자들은 그게 원래 그런 거라고 생각했던 거고, 단지 웃음이 문제 되는 게 아니고 말이야.”

“그래 그렇겠지, 하지만…….”

“그래 우리들은 그런 세대야. 우리의 어머니들은 딸들에게는 자신과 다른 생을 살라고 가르쳤고, 그리고 아들들에게는 아버지와 같은 삶을 살라고 가르쳤지. 그러니 우리가 부딪치는 건 어쩌면 당연해. 단지 나는 이제 이런 식의 이야기들이 피곤할 뿐이야. 정말 피곤할 뿐이야.”

혜완은 담배를 끄고 머리를 부볐다. 선우도 입을 다물었다. 늦은 오전의 시계소리가 둘의 침묵 속으로 파고들었다. 혜완은 온몸에서 기운이 빠져나가는 걸 느끼며 머리를 뒤로 젖혔다.

―「저 오욕의 땅을 찾아」 중에서

 

“남자 비위 맞추는 게 그렇게 억울했니. 참 그러면서 오래도 버텼다.”

반쯤은 농담 삼아 일부러 말투를 가볍게 하려고 애쓰며 혜완이 물었다. 영선은 혜완의 의도를 알겠다는 듯 피식 웃었다.

“글쎄…… 아까도 말했지만 결혼 생활 어디를 찾아봐도 내가 없었어. 난 한때는 글도 잘 쓰고 공부도 잘하고 꽤 칭찬도 받았던 괜찮은 여학생이었는데…… 그 남자의 학비가 없으면 나는 어느덧 그 남자의 학비가 되고, 그가 배가 고프면 나는 그 남자의 밥상이 되고, 그 남자의 커피랑 재떨이가 되고, 아이들의 젖이 되고, 빨래가 되고…… 그 남자가 입을 여는 동안 나는 그런 것들이 되어 있었어. 나는 목욕탕 앞의 발닦개처럼 모든 사람들이 나를 밟고 가도록 내버려두었어. 하지만 그런 순간에도 말야, 난 누구보다 내가 똑똑하고 현명하고 그리고 나 자신을 지키는 여자라고 누가 물었다면 맹세라도 했었을 거야. 우습지 않니?”

영선은 희미하게 웃었다.

―「외로울 때 줄넘기를 하는 여자」 중에서

 

언젠가 불경을 읽다가 영선이 얘기한 적이 있었다.

―이 말 참 좋지? 들어봐.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와 같이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과 같이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혜완도 좋다고 말했었다.

―넌 결국 여성해방의 깃발을 들고 오는 남자를 기다리는 신데렐라에 불과했던 거야.

선우가 말했었다.

그랬다. 영선은 그 말의 뜻에 귀를 기울여야 했었다. 경혜처럼 행복하기를 포기하고, 혜완처럼 아이를 죽이기라도 해서 홀로 서야 했었다. 남들이 다 하는 남편 뒷바라지를 그냥 잘하려면 제 자신의 재능에 대한 욕심 같은 건 일찌감치 버려야 했었다. 그래서 미꾸라지처럼 진창에서 몸부림치지 말아야 했다. 적어도 이 땅에서 살아가려면 그래야 하지 않았을까.

누군가와 더불어 행복해지고 싶었다면 그 누군가가 다가오기 전에 스스로 행복해질 준비가 되어 있어야 했다. 재능에 대한 미련을 버릴 수가 없었다면 그것을 버리지 말았어야 했다. 모욕을 감당할 수 없었다면 그녀 자신의 말대로 누구도 자신을 발닦개처럼 밟고 가도록 만들지 말아야 했다.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중에서

추천사

목차

작가의 말

 

나에게 남은 유일한 진실은 내가 이따금 울었다는 사실뿐이다

한 소녀가 울고 있다

절대로, 어차피, 그래도

저 오욕의 땅을 찾아

짐승의 시간들

외로울 때 줄넘기를 하는 여자

그것은 선택이었다

불행하지 않다

아내, 정부, 그리고 친구

초여름 날의 장미

어머니라는 이름에 대한 우리들의 기억

어머니가 생각한 딸에 관한 몇 가지 이야기

노을을 다시 살다

누추한 선택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초판 작가의 말|제2판 작가의 말|제3판 작가의 말

검색 닫기